목차
티스토리 뷰
제22대 국회의원선거 내 투표소 찾기 / 사전투표 장소 찾기 / 투표방법 안내
오는 2024년 4월 10일은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재보궐선거 동시 실시로 법정공휴일에 진행됩니다. 이에 앞서 4월 5일 ~ 6일 금, 토 양 이틀간은 사전투표를 진행하게 됩니다. 본 선거와 사전투표 방법은 오늘 안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반 투표 장소와 사전투표 장소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는데요. 오늘 안내드리는 내 투표소 찾기 방법과 사전투표 장소 찾기 안내 참고하셔서 미리 체크후 편하신곳을 선택하셔서 해당하는 날자에 참여하시면 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투표시 얼굴 사진이 포함되어있는 신분증은 필수 입니다. 투표가 가능한 선거권이 있는 18세 이상의 국민이면 누구나 투표가 가능합니다. 미리미리 내 투표소 찾기로 위치 확인해 두시고 내 소중한 한표 꼭 행사 하시기 바랍니다.
투표 일정(시간)
˙투 표 일 : 2024.04.10(수)
˙사전투표 : 2024.04.05(금) ~ 04.06(토)
˙투표시간 : 매일 오전 06:00시 ~ 오후 06:00까지
˙선 거 권 : 선거일 기준으로 만 18세 이상의 국민(2006.04.11일 이전에 태어난 사람까지 포함됨)
˙투표장소 : 내 투표소 찾기 서비스, 사전투표 장소 찾기, 본 홈페이지 링크에서 확인
˙22대 국회의원선거 투표 관련 페이지 바로가기!!
투표 준비물 / 내 투표소 찾기
1. 신분증 챙기기(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장애인복지카드, 청소년증, 여권, 생년월일과 사진이 첩부되어 있는 학생증 등
2. 미리 사전투표 장소 or 내 투표소 찾기(방법)
-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서 찾기
- 포털(네이버, 다음 등) 사이트 검색
- 본 포스팅에서 안내해드리는 사전투표소 찾기 or 내 투표소 찾기로 이동
👉🏼 내 투표소 찾기 서비스
투표 / 사전투표 절차 안내
[사전 투표 절차 안내]
사전투표 절차는 관내선거인과 관외선거인으로 구분됩니다. 큰 차이는 회송용봉투를 쓰느냐 안쓰느냐 입니다.
ㅇ 관내선거인 : 해당 구. 시. 군 관할구역 내에 주소를 둔 유권자
ㅇ 관외선거인 : 해당 구. 시. 군 관할구역 밖에 주소를 준 유권자
관내선거인 | 관외선거인 |
1. 신분증 제시 및 본인 확인 2. 투표용지 수령 3. 기표소에 비치된 용구로 기표 4. 투표함에 투표지를 넣고 퇴장 |
1. 신분증 제시 및 본인 확인 2. 투표용지와 주소라벨이 부착된 회송용봉투 수령 3. 기표소에 비치된 용구로 기표 후, 회송용봉투에 넣어 봉함 4. 투표함에 투표지를 넣고 퇴장 |
[일반 투표 절차 안내]
가장 먼저 내 투표소 찾기 서비스로 정확한 투표장소에 시간에 맞춰 찾아가 주세요, 이후 순서는 아래 참조
1. 투표사무원에게 신분증 제시 및 본인 확인
2. 선거인명부에 서명 또는 (손)도장 날인
3. 투표용지수령(2장)
4. 기표소에 비치된 용구로 기표
5. 투표함에 투표지 투입
사전투표와는 다르게 관내 관외 구분이 없어서 투표절차가 간단합니다.
투표시 신분증 인정범위
투표시 유일한 준비물은 바로 나 자신과 신분증인데요. 신분증 검사시 인정되는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 안내해드립니다. 가장 중요한건 관공서나 공공기관에서 발행하고 사진이 첩부되어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제시하면 투표할 수 있습니다. 그럼 자주 묻는 내용으로 안내를 해드리겠습니다.
ㅇ 선관위 인정 신분증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공무원증, 국가보훈등록증(국가유공자증), 장애인복지카드, 학생증 등
ㅇ 신분증 관련 Q&A
질문 1) 신분증을 잃어버린경우 투표를 못하나요?
답변) 바로 발급가능한 주민등록증 발급신청 확인서를 가져가면 됩니다.
질문 2) PASS앱 또는 카카오톡 지갑 같은 모바일 신분증 앱도 이용가능한가요?
답변) 네 가능합니다. 다만 신분증 앱 캡쳐본이나 이미지는 인정이 안되고 확인시 모바일에서 앱을 켜서 실행과정을 직접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질문 1) 유효기간이 지난 여권이나 운전면허증도 괞찬나요?
답변) 네 본인 확인 용도이기에 유효기관이 지났더라도 인정이 됩니다.
투표 시 주의사항 안내!!
투표시 투표용지는 다시 주지 않습니다. 때문에 주의하셔서 기표를 해주셔야 합니다. 특히 기표 도장은 다른 후보자란의 여백 등에 실수로 옮겨 묻지 않도록 투표용지를 가로가 아닌 세로로 길게 접으시길 바랍니다. 또한 인증샷등을 찍으신다고 기표소 안에서 투표용지를 절대로 촬영하시면 안 됩니다. 투표 인증샷을 찍으실 경우 투표소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포토존이나 표지판 등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유효표와 무효표 알아보기!!
마치며...
이상으로 제22대 국회의원선거 내 투표소 찾기 / 사전투표 장소 찾기 방법(시간,준비물) 등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이었는데요. 최근 계속해서 투표율이 좋지 않았는데요. 이번에 적극 투표 응답이 4년 전보다 3.8%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낮은 연령대는 여전히 투표 의향이 적은데요. 개인적으로 본투표보다는 보다 편하게 할수 있는 사전투표를 이용하면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선거에 꼭 참여하셔서 투표권이 있는 모든 분들이 투표권을 행사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